최근 들어 컴퓨터 해킹 사례가 점점 증가하면서 개인 정보 유출, 금융 피해, 원격 조작 등의 피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많은 사용자는 자신의 컴퓨터가 해킹당했는지 모르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습니다.
만약 내 컴퓨터가 갑자기 느려졌거나, 이상한 팝업이 뜨고, 원인 모를 네트워크 사용량이 증가했다면 해킹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.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가 해킹당했을 때의 증상과 확인 방법, 그리고 대처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.
1. 침해된 PC/노트북/데스크탑의 주요 증상
장치가 Hacking을 당하면 다양한 징후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. 아래와 같은 현상이 있으면 즉시 점검이 필요합니다.
1) 시스템 속도 저하
- 실행하지 않은 Program이 자동 실행됨
- CPU 자원 사용량이 갑자기 증가
- 인터넷 접속 속도가 평소보다 느려짐
2) 원인 모를 팝업 및 광고
- 웹사이트를 방문할 때마다 광고가 표시됨
- 설치하지 않은 응용프로그램이 자동으로 동작함
3) 비정상적인 네트워크 사용 증가
-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동작하거나 알 수 없는 접속 발생
- 원격 접속 툴(RDP) 기능이 켜져 있음

2. 내 시스템이 Hacking 당했는지 확인하는 방법
불법 침입 여부를 명확하게 판단하려면 아래 방법들을 사용해보세요.
1) 작업 관리자에서 프로세스 확인
- Ctrl + Shift + Esc 키로 작업 관리자 실행
-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에서 의심스러운 소프트웨어 또는 Program 동작 확인
- 'CPU' 또는 '메모리' 사용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항목 점검
2) 네트워크 트래픽 점검
- 명령 프롬프트(cmd)에서
netstat -ano
입력 - 의심 가는 외부 IP 연결 여부 확인
3) 보안 기록 분석
- 이벤트 뷰어(eventvwr) 실행
- Windows 로그 → 보안 탭에서 이상 로그인 확인
3. Hacking 확인 시 대처 방법
노트북이나 데스크탑이 침해된 경우 즉시 아래 절차를 따라야 합니다.
1) 보호 소프트웨어로 검사 및 치료
- 최신 보안 프로그램 또는 백신으로 정밀 스캔
- 감염 파일은 즉시 삭제
2) 계정 비밀번호 교체 및 2단계 인증
- 침입이 의심되는 계정(이메일, 금융 등) 암호 모두 변경
- 가능하면 2단계 인증(2FA)을 활성화
3) 운영체제와 Program 최신화
- Windows, macOS 등 운영체제에 최신 패치 적용
- 주로 쓰는 애플리케이션(브라우저, 메신저 등)도 항상 최신 상태 유지
4) 의심 앱 삭제 및 시스템 초기화
- 작업 관리자에서 종료 후 제어판 → 프로그램 제거로 삭제
- 문제가 계속된다면 Windows 초기화도 고려
4. Hacking 및 무단 침입 예방을 위한 보호 전략
1) 방화벽 설정 및 최신 보안 적용
- Windows Defender 방화벽 반드시 활성화
- 운영체제 보안 패치 주기적으로 적용
2) 의심 이메일 및 링크 주의
- 모르는 발신자 이메일은 열지 않기
- 메일 내 링크 클릭 전 반드시 주소 확인
3) 백업 및 복구 방안 준비
- 중요 데이터는 정기적으로 외부 저장장치나 클라우드에 백업
- 백업 파일은 네트워크와 분리된 장소에 보관
5. 마무리
PC 등 사용자의 노트북 또는 데스크탑이 해킹당하면 개인정보 유출이나 경제적 피해를 입을 수 있습니다.
평소에 침해 여부를 꾸준히 점검하고 보호 관리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이번 글에서 소개한 침입 징후 및 점검법을 참고하여 내 장치가 안전한지 확인해 보세요.
그리고 피해 발생 시 신속하게 대처하는 방법도 익혀 피해를 줄이시길 바랍니다.